(해석학) 17-3. 다변수벡터함수의 미분에서 시작해서, 방정식의 해의 존재성으로 끝나버림... (Rank Theorem, Pseudo Inverse)
이번 챕터에선 Inverse Function Theorem, Implicit Function Theorem에 이어서, 드디어 마지막인 Rank Theorem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려고한다. 방정식의 해의 존재성에 관한 전반적인 이야기는 앞 챕터에서 다루었기 때문에 생략하겠다. (17-1, 17-2 참고!) 앞에서 보아서 알겠지만, 남은 이야기는 결국 (변수 개수) < (식의 개수) 인 경우인데, Pseudo-Inverse 라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했었다. Pseudo-Inverse에 관한 내용을 선형대수에서 다룬다고는 했지만, 도저히 안 쓰고는 넘어가기가 그래서, 여기서 딱 필요한 정도만 다룬다... 먼저, 이를 위해서 선형대수 내용을 더 끌어오자.... (물론, 가장 좋은 건 선형대수 내용을 보고 오는 ..
더보기
(해석학) 14-2. 가끔씩 보이는 베타함수 (Beta Function)
이번에는 감마함수와 함께, 조금 더 들어가면 또 가끔 더 보이는, 베타함수에 대해서 알아보자. (Beta Function) 베타함수는 적분으로 정의해도 상관없고, 감마함수를 이용해서 정의해도 상관없다. 사실, 등장빈도는 감마함수에 비해서 낮긴 하지만, 저 적분꼴이 은근히 많이 등장하므로, 딱 그냥 상식정도로 알아두자... 여기서 베타함수의 두 식이 같은 것임을 증명해보자! -> 감마함수의 성질을 이용한다. (증명) 더보기 일단, 인 것을 가정해서 시작하자! 그러면, 이 함수 f(x)가 감마함수의 성질 3가지 모두를 만족하는 것을 보이면, f(x)가 감마함수가 되어, 위 식을 증명하는 것이다. 그럼, f(x)가 감마함수의 성질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자. 1. 그러면, 2. 3. 먼저 log B(x,y)가 C..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