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적분학 참고링크)
(미적분학) 17-2. 드디어 마지막, 스토크스 정리 (Divergence, Curl in 3D, Stokes' Theorem): https://0418cshyun.tistory.com/39
이번 챕터에선 미적분학에서 보았던 Stoke's Theorem(스토크스 정리)를 "미분형식"을 이용해서 조금 더 세련되게 보려고 한다.
미적분학에서 본 스토크스 정리는
이런 느낌이었다는 것을 상기하면서 들어가자!
우리가 증명하고자 하는 스토크스 정리는 더 일반화 되어있는 형태이다!
(Stoke's Theorem)
증명을 하기 전에, 이 정리가 위에 나온 정리에 일반화된 form이라는 것을 확인해보자.
1. k=m=1 -> 미적분학의 기본정리!
2. k=m=2 -> Green's Thm(2D에서 보면) 혹은 위의 Stoke's Thm(3D에서 보면)
3. k=m=3 -> Divergence Theorem(발산정리)
여기서 나오는 dS, ds, dV에 대한 내용은 미적분학에서도 했던 내용들이지만, 뒤에서 다시 한번 또 다룰 것이다.
그러면, 본격적으로 증명을 해보자!
(증명)
먼저, psi가 k-chain일 필요가 없다! -> k-simplex면 충분하므로, simplex로 가정하고 시작한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서 경우를 나누자.
1. k=1
2. k>1
여기서 나온 tau에 대해서 더 자세히 써보자...
이를 다시 행렬표현으로 쓴다면...
그러면, tau로 인한 determinant를 계산해보면
자, 그러면 이제 다시 돌아와서...
이제 반대편 쪽 항을 보면
그러므로 증명이 완료되었다.
(Simplex에서 성립하므로 Chain에서도 동일하게 성립!)
스토크스 정리를 응용하는 것은 이미 미적분학에서 본 것으로도 사실 충분하기 때문에 (어차피 일반적이라고 하지만 결국엔 2차원 3차원에서 대부분 쓰게 된다....) 의미와 응용은 미적분학에서의 내용을 참고하기 바라고, 조금 더 뒤에서 선적분과 면적분을 보면서 응용에 대해서 더 이야기 할 것이다.
스토크스 정리가 미적분학의 기본정리를 포함한다고 했는데, 미적분학에서 배울 때, 이에 관련해서 Potential Function과 Exact form 등의 내용을 배웠었는데, 그럼 이러한 방식의 스토크스 정리에서도 똑같이 적용이 될 것이다. 이에 관한 내용을 다음에 다룰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