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athematics/미분방정식

(미분방정식) 7-2. 2nd-order ODE with Constant coefficients (2)

이번에는 특성방정식을 풀었을 때 2개의 허근이 나오는 경우를 살펴보자.


먼저, 미적분학을 보고 왔다면 이미 알겠지만, 오일러 공식을 다시 한번 떠올리자!

 

지수가 순허수인 경우가 아니라면 다음처럼 볼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할 필요도 없이 그냥 실수부와 허수부분의 지수를 따로 떼어놓았을 뿐이다.

=> 발산/수렴하는 (Exponential) 부분과 진동(삼각함수)부분을 분리!


두번째로

2차방정식에서 복소수 근이 나오는 경우 -> 당연히 "켤레복소수(Conjugate)" 또한 해라는 것을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런데, 흔히 저지르는 실수 중에 하나가 2차방정식의 계수가 모두 "실수"여야 한다는 조건을 놓친다는 것이다.

즉,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Solution of 2nd-Order Equation -> Conjugate)

(증명)

증명과정은 아주 심플하게 해를 집어 넣어보면 된다.

이 조건을 가지고 원래 식에 conjugate를 집어넣어보면

그러므로, Conjugate 또한 해이다.

 

**예를 들어서 다음 이차방정식은 Conjugate가 해가 되지 않는다!!

 


우리의 경우에도 계수 및 초깃값이 "실수"인 경우만 살펴보도록 하자. (사실, 물리학에서 허수가 계수로 튀어나올 일은 중간에 계산하다가, 혹은 개념적으로나 있을 수 있고 -> 허수가 나오는 일은 없다고 봐야 한다.)

 

이번에도 예시를 통해 생각해보도록 하자.

그러면 특성방정식은

그러면 해를 다음처럼 쓰게 될 것이다.

 


(1)

처음에 본 식을 생각해본다면, 해를 실수/허수부로 떼어놓을 수 있다.

=> 이렇게 실수부(cos)와 허수부(sin)로 떼어놓을 수 있다.

=> 이렇게 보는 것이 지수에 허수를 달고 다니는 것보다 더 직관적!!

 

그러면, 이렇게 바꾼 해로 초깃값 문제를 집어넣으면


(2)

혹은 해를 바꾸지 않고도 생각해볼 수 있다.

이를 위의 관계를 통해서 바꾸어보면...

그러므로 해는 다음과 같이 나온다.

 

해를 살펴보면 기가 막히게 허수부분이 사라진다....


그러면 이제 일반적인 경우를 생각해보자.

특성방정식의 해가 다음과 같이 나왔다고 했을 때, 해를 구해보자!

그러면 해의 꼴은

만일 이 때 초깃값이 다음과 같이 주어져 있다면... (단, 이 때 초깃값 또한 실수!)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계수와 초깃값을 실수로 가지는 2차 ODE의 해는 실수로 나온다!!


그러면, 특성방정식의 해가 복소수로 나올 때의 해가 시간에 따라 어떻게 움직이는지 확인해보자.

먼저, 해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그런데, 이미 우리는 특성방정식의 해가 실수로 나올 때, 미분방정식의 해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보았었다.

즉, 위에서 alpha>0이면 해가 발산하고, alpha<0이면 해가 수렴한다.

거기에 -1~1의 값을 갖는 cos, sin을 곱했으니, 발산/수렴 경향성은 실수인 경우와 동일한 것은 당연하다!

 

그러면 여기에 추가가 된 cos, sin 부분에 대해서 생각해보자.

cos, sin의 주기는 beta와 반비례하므로

beta가 커지면 해가 더욱 더 흔들리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그래프로 나타내보자!

위의 그래프는 특성방정식의 해의 위치, 아래의 그래프는 이에 따른 미분방정식의 해를 나타내었다.

alpha=-1이므로, 해가 수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특성방정식의 해가 실수일 때와 달리 단조감소하면서 수렴하는 것이 아니라 흔들리면서 수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beta 1->3으로 키워보면 이러한 경향성이 더 잘보인다.

beta가 커지면, 주기가 짧아지고, 진동수가 커지므로 더 많이 진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alpha를 RHP(Right Half Plane -> (alpha>0인 영역))으로 바꾸면 다음과 같은 그래프를 얻는다. 

alpha>0으로 바꾸니 해가 발산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자, 그러면 남은 것은 특성방정식의 해가 "중근"이 나오는 경우이다.

다음 챕터에서 확인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