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금까지 배운 것들을 끄적여 보았습니다.

배운걸 그냥 두는게 아까워서 그저 아는 것만큼 작성하였습니다.
도움이 된다면 좋고, 안된다면 어쩔 수 없죠...
수정이 필요하거나 질문, 틀린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더보기
  • 선형대수학 (선형대수학) 15-1. Intro. of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이번시간에는 Singular Value Decompostion에 대해서 알아보자. 먼저, 우리가 지금까지 계속 해왔던 Diagonalization(혹은 Jordan Form)은 모두 정사각행렬에 대해서만 적용이 되었다. 이를 확장해서 임의의 모양을 가진 행렬에 대해서도 적용을 시킬 수 있을까??? 그 전에 알아두면 좋은 Lemma를 소개하고 넘어간다. (Lemma 1) 만일 A가 정사각행렬이고, Diagonalization이 가능한 경우, 0이 아닌 eigenvalue의 개수가 A의 rank와 동일하다! 즉, 0인 eigenvalue의 개수가 Null Space의 Dimension과 일치한다! (증명) 더보기 간단히 설명하자면, eigenvalue가 0인 경우에는 => 거기에 해당되는 eigenvecto.. 더보기
  • 해석학 (해석학) 26. 함수를 재보자! (Measurable Functions) 지난 시간까진, 집합을 재어보았다면 이번 시간에는 함수를 재볼 것이다. 먼저, Measure가 정의된 Space에 대해서 생각해보자. (Measure Space, Measurable Space)(측도 공간과 잴 수 있는 공간) 예를 들어서, X가 자연수집합, sigma-ring을 X의 모든 부분집합, mu(A)를 A의 원소 개수라고 한다면 -> X는 잴 수 있는 공간! 그리고, 이 Measurable Space에서 정의된 함수에 대해서 Measurable Function을 정의하자. (Measurable Function)(잴 수 있는 함수) 어떻게 생각하면 되냐면.... 르벡적분 시작부분에서 다음 그림을 보았다! 르벡적분 부분에서, A의 길이(측도)는 결국에 저 가로로 길쭉한 직사각형의 가로 길이를 말하.. 더보기

새로 올라온 글